최근 국민의힘 당대표선거를 앞두고 한동훈 후보의 사퇴를 촉구하는 '연판장' 사태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연판장'이 무엇이기에 국민의힘 당대표선거에 영향을 미칠지에대해 '연판장'의 뜻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연판장이란 무엇인가?
연판장(連判狀)은 여러 사람이 의견이나 주장을 함께 서명한 문서로, 성명서나 건의서 등을 포함합니다. 연판장은 각자의 이름과 도장이나 지장을 함께 사용하여 작성되며, 때로는 손가락의 피로 서명하는 혈판장도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연판장의 의미와 유래, 작성 목적, 양식, 그리고 한국의 유명한 연판장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연판장의 의미
연판장은 한자로 '連判狀'이며, 영어로는 'a list of signers to the compact' 또는 'a compact under joint signatures'라고 표현됩니다. 한자의 의미를 살펴보면, '連'은 잇닿을(연), '判'은 판단할(판), '狀'은 문서(장)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판장은 여러 사람이 이름을 잇닿아 서명하거나 도장을 찍은 문서를 뜻합니다.
영어 표현인 'a list of signers to the compact'는 '합의문에 서명한 사람들의 명단'을 의미하고, 'a compact under joint signatures'는 '공동 서명된 합의문'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연판장의 유래
연판장의 유래는 오래전 일본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일본 막부시대에 농민들이 지방 영주들의 무리한 세금 징수와 처벌에 반발하며 이름을 적어 보낸 문서가 연판장의 시초입니다. 한국에서도 연판장의 첫 사례로 1960년 4.19 혁명 이후 젊은 장교들이 작성한 연판장이 있습니다. 이 연판장은 발각되어 미수에 그쳤지만, 이후 1999년 검찰 내부에서 연판장을 돌린 사례가 있습니다.
연판장을 작성하는 목적
연판장은 여러 사람의 의견을 모으고 단합된 힘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됩니다.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기 위해 피로 지장을 찍거나 서명하는 혈판장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주로 상대적으로 힘이 적은 세력이나 하위 직급에서 개혁이나 변화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하극상이나 항명으로 비춰지기도 합니다.
연판장의 양식
과거 연판장은 주동자를 알 수 없도록 참여자의 이름을 원형으로 둘러쓰는 방사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양식은 사발 모양으로 서명한다고 하여 사발통문(沙鉢通文)이라고도 불립니다. 현대에는 단순한 서명부나 동의서 형태로 작성되기도 합니다.
한국의 유명한 연판장 사례
연판장은 주로 주류 세력에 저항하는 집단적 투서의 의미로 사용되어 화제가 되곤 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1960년 5.16 군사정변 세력의 소장 장교들이 작성한 연판장이 있습니다. 당시 군대의 부패와 3.15 부정 선거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주요 군장교들의 퇴진을 요구했으나 발각되어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1999년 서울, 부산, 인천 지검의 일부 검사들이 검찰 수뇌부에 대한 비판으로 연판장을 돌린 사건이 있습니다. 검찰이 청와대의 눈치를 보며 심재륜 고검장을 법조비리 사건으로 파면시키려는 것에 반발해 작성된 연판장이었습니다.
2023년에는 더불어민주당의 초선의원들을 중심으로 이낙연 전 대표의 신당 창당을 반대하기 위해 연판장을 돌린 사례도 있습니다.
마치며
연판장은 여러 사람이 함께 의견을 표현하고 단합된 힘을 보여주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그 의미와 유래, 작성 목적과 양식을 이해하면, 연판장이 가지는 중요성과 그 역할을 보다 잘 알 수 있습니다. 다양한 연판장 사례를 통해 연판장의 영향력과 역사를 다시금 되새겨보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